제3회 서울여성독립영화제

일시2021년 7월 1일~4일
장소서울시 성북구 아리랑시네센터
상영작품장편 5편, 단편 20편
개막작<너에게 가는 길> 변규리
폐막작<위안> 이혜린
수상작심사위원상
장편 <위안> 이혜린
단편 <무력의 언어> 황현지

관객상
장편 <너에게 가는 길> 변규리
집행위원문아영, 박소희, 안정윤, 유진, 정연, 한온리
아이덴티티 디자인이하경, 박수연, 최다솜
트레일러
포스터

여성들이 서로를 비춰가며 연대하고 집합하는 의미를 담은 포스터입니다. ‘응시와 연결’, ’연대와 집합’이라는 키워드를 활용하여 상승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반사되는 재질의 종이를 사용하여 서로를 비추는 여성들을 표현했습니다.


디자인. 이하경, 박수연, 최다솜

현장 스케치
상영작

<관객상>

제작년도
2021

분류
다큐멘터리

러닝타임
93분

시놉시스
소방 공무원 나비는 어느 날 자식인 한결에게 ‘나 가슴 절제하고 싶어.’라는 커밍아웃을 받는다.한편, 항공 승무원이자 워킹 맘인 비비안은 ‘엄마, 저 게이예요.’라고 시작하는 예준의 편지에 눈물을 흘린다. 두 엄마가 자식의 정체성을 채 이해하기도 전에 한결과 예준은 본인들이 마주한 현실의 문제를 털어놓기 시작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85분

시놉시스
공황장애로 피아니스트의 꿈이 좌절된 준서의 세상은 소음으로 가득하다. 깊은 공허 속에서 헤어나려 안간힘을 쓰던 준서는 엄마의 둥지에서 벗어나 스스로 다시 일어서려 한다. 그 첫 걸음으로 준서는 자신이 도망쳐온 학교로 돌아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우연히 과거의 자신과 마주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다큐멘터리

러닝타임
85분

시놉시스
"좋은 한국인도 나쁜 한국인도 다 죽여라." 일본의 헤이트 스피치는 공격적이고 차별적이다. 오사카 출신의 이신혜(재일코리안 2.5세)는 일본 최초로 헤이트 스피치 단체를 대상으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한복을 입고 패션쇼를 하듯 법정을 오가는 이신혜와 함께 싸우는 재일코리안 여성들이 보여주는 ‘혐오와 차별을 건너는 법’에 대한 이야기.

<장편 경쟁 부문 심사위원상>

제작년도
2020

분류
다큐멘터리

러닝타임
65분

시놉시스
한때는 양공주, UN 마담 등으로 불리웠던, 기지촌에서 성매매에 종사했던 여성들은 2014년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를 미군 위안부라 칭한다. 그들의 잊혀진 목소리와 지워진 흔적들을 쫓아가며 일본군 위안부 제도로부터 이어져온 위안부의 이야기를 전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다큐멘터리

러닝타임
124분

시놉시스
한 다문화 가족이 반 지하 셋방에 막 이삿짐을 풀었다. 이 다문화 가족 가장은 33년 전 서울의 가장 큰 달동네였던 사당동 판자촌 단칸방에 모여 살던 할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남동생과 여동생 등 다섯 식구 중 한 명이다. 이 다큐는 그 할머니 가족의 4대에 걸친 33년의 일상을 응시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2분

시놉시스
남자가 트럭에 딸을 태우고 가출한 베트남 아내를 찾으러 다닌다. 소녀는 아빠를 돕는 척 하지만 사실 엄마가 집에 돌아오지 않길 바란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6분

시놉시스
지하철 택배원 신정숙(70세), 어느 날 범죄에 관련된 대포통장을 운반하게 되고 정숙은 기록 일지를 불태워 증거인멸을 하게 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34분

시놉시스
낯선 상황에서 살아가야 하는 민우는 상황을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제작년도
2020

분류
다큐멘터리

러닝타임
39분

시놉시스
여성이 삶에서 '결혼'이라는 선택지를 빼면, 처음 보는 사람들마저 대뜸 그 여성의 비참한 미래를 예언한다. 여성의 삶은 '아내'나 '엄마'로 마무리 되어야만 해피엔딩이라는 낡은 믿음은 2020년이 된 지금도 건재하다. 2020년이 된 지금, 많은 여성들이 낡은 관습을 버리고, 자신만의 세상을 향한 비행을 하고 있다. 이 다큐멘터리에서는 시간의 차이를 두고 비혼의 길을 걷고 잇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1분

시놉시스
중년의 자매들이 어머니의 기일을 기념하기 위해 첫째 혜정의 집에 모인다. 막내는 언니에게 꼭 해야 할 말이 있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7분

시놉시스
영심의 감나무가 마을 환경 개선 사업으로 뽑힐 위기에 처하고, 영심은 이를 반대하며 시위를 한다. 가족들은 영심의 끼니를 챙기기 위해 손녀인 주영을 보낸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6분

시놉시스
올해로 환갑을 맞은 정연은 일본에서 결혼해 살고 있는 딸을 만나러 일본에 간다. 마중 나오겠다던 딸은 없고, 자신의 손녀라는 어린 소녀 우에쿠사 안이 정연을 기다린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6분

시놉시스
낮에 일하는 지영과 밤에 일하는 우철은 함께 살고 있다. 두 사람이 유일하게 만날 수 있는 시간은 우철이 퇴근하고 온, 지영이 출근을 준비하는 아침 7시부터 8시 사이 딱 한 시간이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4분

시놉시스
캥거루족 시나리오 작가 지망생 소영은 털이 많은 엄마 남자친구 웅섭으로부터 경제적 독립에 대한 압박을 받는다. 그때부터 집 안에 털이 날리고 털괴의 목소리가 소영을 괴롭힌다. 소영은 털괴의 정체가 웅섭임을 밝히기 위해 노력한다.

제작년도
2021

분류
애니메이션

러닝타임
6분

시놉시스
사람들이 떠올라 하늘로 사라지는 일이 발생한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 길을 택한다. 주인공도 큰 시련을 겪고 지상을 떠나길 시작한다.

제작년도
2021

분류
다큐멘터리

러닝타임
11분

시놉시스
한국생명의전화에서 상담원으로 45년간 자원봉사를 해온 이광자 씨는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왔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5분

시놉시스
78세 노모(老母) 경자는 내일이면 요양원에 들어가야 한다. 그런 경자를 위해 엄마의 살림을 정리하던 큰 딸 스텔라는 말라빠진 작은 화분을 발견한다. 그 화분을 버리려 하는 스텔라. 하지만 경자는 그 나무가 살아있다며 버리지 못하게 한다. 한편, 작은 딸 지니는 엄마의 마지막 모습을 보러 타주에서 온다. 엄마와 함께 바닷가를 가는 중에 엄마의 치매가 심각해졌음을 알게 되며 충격받는 지니. 그리고 그날 저녁 경자와 지니는 스텔라 식구들과 마지막 저녁식사를 함께 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1분

시놉시스
민조와 결혼을 앞둔 영환이 술에 취해 지하철에서 오줌을 싸는 영상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5분

시놉시스
연극계 원로인 연출가 박창환을 성희롱으로 고소한 젊은 희곡 작가 지혜. 갑작스러운 박창환의 사망 소식을 들은 뒤 죄책감과 불안을 겪는다. 그리고 의문의 여고생이 자꾸 자신을 찾아온다는 강박증에 사로잡힌다.

제작년도
2021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3분

시놉시스
반지하 집에서 엄마와 둘이 살고 있는 11살 민아. 잔디인형 키우기 과제를 하던 중 민아의 컴퓨터가 갑자기 고장나고 온라인 수업을 듣기 위해 민아는 친구 지윤의 집을 오가며 컴퓨터를 빌려 쓰게 된다. 지윤의 밝고 넓은 집과 예쁜 방, 맛있는 과자와 시원한 에어컨 등이 좋은 민아는 컴퓨터가 고쳐진 이후에도 지윤의 집이 계속 가고 싶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9분

시놉시스
갈 곳 없는 어떤애와 다른애는 재건축 아파트에 몰래 들어가 노숙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버려진 강아지 레이를 만나게 되는데…

제작년도
2021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7분

시놉시스
고등학생 희원은 저소득층 장학금을 받기 위해 자신의 처지를 증명해 줄 서류를 발급받아야 하지만 좀처럼 쉽지 않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2분

시놉시스
무더운 여름 날, 시각장애인 해담은 고장 난 선풍기를 고치기 위해 수리기사를 부른다. 수리기사가 떠나고, 한 여자가 집 안으로 들이닥친다.

제작년도
2020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0분

시놉시스
매일 밤 TV 문제로 엄마와 다투는 예지는 리모컨이 사라지자 엄마의 의심을 받는다.

<단편 경쟁 부문 심사위원상>

제작년도
2021

분류
극영화

러닝타임
26분

시놉시스
대기오염으로 인해 목소리를 잃어버린 사람들이 수어로 소통한다.


2024.07.25. - 07.28.

아리랑시네센터 아리랑인디웨이브

2024.07.25. - 28. 아리랑시네센터 아리랑인디웨이브

Copyright © 2024 SIWOL All rights reserved.